티스토리 뷰

담 / 자고 일어났더니 목이 안돌아가요


안녕하세요 AimHo 입니다.

사실 어제 글을 쓰려고 했는데, 목에 담이와서 고개가 안돌아가더군요 ㅠ

아직도 오른쪽으로 고개를 돌리려고하면 통증이 몰려옵니다.

그래서 통증 완화해보자 정보도 찾을겸 담에 관한 글을 적으려고 합니다!


담 걸리는 원인

찾다보니까 원인도 여러가지가 있더군요, 흔히 말하는 "담걸림"은 질병이 아니라고 합니다.

주로 가슴이나 등, 어깨의 근육, 신경, 뼈나 연골, 혈관 등에 문제가 생긴 경우들이라고 합니다.

원인 종류는 아래와 같습니다.


1. 근막통증 증후군

담 걸리는 원인 중 대표적 질환으로 근육의 일부가 뭉치고 딱딱해지면서 주변으로 통증이 뻗치는 현상입니다.

평소에 잘 움직이지 않는 근육을 이상한 자세로 급격히 움직인다든지, 잘못된 자세로 과도하게 일을 한다든지 할 때 잘 발생합니다. 정확한 부위가 밝혀지면 간단한 주사나 물리치료, 자세 교정등에 의해 극적으로 좋아지는 질환입니다.


sick_01


2. 갈비연골염
갈비뼈는 등뒤의 척추에서 시작하여 옆구리를 가로질러 가슴쪽으로 돌아옵니다. 

이 갈비뼈와 가슴 한가운데의 복장뼈(흉골)를 이어주는 것이 연골인데 이 연골과 갈비뼈 또는 복장뼈가 만나는 곳에서 통증이 생긴 것을 갈비연골염이라고 합니다. 드물게 아픈 부위가 부어오른 경우는 “티에체 증후군”이라 부르기도 합니다. 가끔 연로하신 분이나 심한 골다공증이 있는 경우 반복적인 기침에 의해서 갈비뼈가 부러지기도 하는데 이런 골절에 의한 통증은 갈비연골염과 구별하기 힘든 경우가 많습니다. 그러나 다행히도 요즘에는 고해상도 초음파의 발달해 쉽고 정밀하게 감별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sick_02


3. 어깻죽지뼈 위 신경 조임병증

어깨가 결리는 이유 중의 하나로서 어깻죽지 주변의 근육과 견봉 주변을 담당하는 어깻죽지뼈 위 신경이 인대와 근육의 경련에 의해 꽉 조여지면서 통증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어깻죽지 주변의 근육을 만져보면 대개 딱딱하게 긴장되어 있고 오래된 경우에는 근육의 위축이나 어깨 움직임의 허약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신경이 인대에 의해 조여진 부분에 항염주사를 함으로써 좋아지나 드물게 호전되지 않는 경우에는 수술로 신경을 풀어주어야 할 때도 있습니다.


4. 대상포진
면역력이 저하된 사람에게서 바이러스가 신경을 침범하여 따끔따끔 아픈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로서 주로 수포나 발진을 동반한 통증이 허리띠 모양으로 분포하므로 대상포진이라 합니다. 대개 피부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는 그냥 담이 결리는 것으로 생각하게 됩니다. 그러나 이 질환은 늦어도 1주일 안에 적절한 치료를 시작하지 못하면 신경의 손상으로 오랫동안 심한 합병증에 시달리게 되므로 지체하지 말고 빨리 전문의를 찾아야 합니다. 주로 연로하신 분들이 걸리지면 요즘에는 젊은 사람들도 많이 걸립니다.


담 예방 방법

1. 평소에 규칙적인 운동을 하고 갑작스럽게 격렬한 운동이나 힘든 일을 하는 것은 피합니다. 
2. 운동이나 육체적인 일을 시작하기 전에 미리 준비운동으로 몸을 풀어주고, 운동 뒤에는 반드시 정리운동을 해주어야 합니다. 
3. 고정된 자세로 반복적인 일을 하거나 불편한 자세로 잠을 자는 것을 피합니다.
이렇듯 평소에 조금만 신경 써주면 짜증나도록 여기저기 뻑적지근하게 쑤시는 고통이 찾아오는 것을 피할 수 있습니다
.



담 치료 방법

담을 치료하는 방법들로는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거나 마사지를 하거나, 염화에틸 스프레이를 뿌려주신 후에 스트레칭을 해주시는 방법이 있습니다. 그리고 허혈을 압박하는것도 있고 수분 열찜질을 하시는 방법이 있는데요.

사실 가장 효과가 빠른건 국소 마취제 주사 후에 스트레칭을 하시는게 가장 빠른 효과가 있습니다.

심한 경우시라면 병원에 가셔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댓글
«   2025/0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방문자 현황
Total
Yesterday
Today